큰집이 좋아? 작은 집이 좋아? 코로나 이후 모든 것이 집으로 들어왔다.
코로나 이후, 큰 집이냐 작은 집이냐.
모든 것이 집 안으로 들어왔다.
코로나 19 사태를 겪으면서 집의 크기에 대한 생각을 달리하게 되었다. 큰 집이냐, 작은 집이냐의 선택은 취향의 문제이지만, 코로나가 한창일 때는 이왕이면 큰집이 좋겠다는 생각이었다.
작은집 예찬자들은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 작은집의 유용성을 설파했다. 그들은 극단적으로 말해서 잠자는 것만 집에서 하고 나머지는 밖에서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한다. 밥은 외식, 차 마시는 것도 밖에서, 운동은 피트니스센터, 이런 식이면 정말 작은 집에서 잠만 자면 된다.
코로나 19 이전에는 작은 집이 인기를 끌었다. 우선 1인 가구 증가가 가장 큰 요인이었다. 혼자 사는데 큰 집은 필요 없다는 것이다. 그리고 미니멀리즘도 한몫했다. 짐을 줄여 간소하게 살고, 혼자 살면 굳이 큰 집이 필요하지 않을 거라는 얘기다. 게다가 집값이 올라가니 상대적으로 작은 집을 선호하게 된 것이다. 그런데 변수가 생겼다.
코로나 19 이후, 비대면 사회가 되면서 사회의 모든 모습이 바뀌고 있다. 대형마트 보다는 택배, 영화는 집에서, 운동도 집에서, 여행은 집콕, 그러다보니 큰 집으로 눈이 가기 마련이다. 큰 집에 운동기구도 마련해놓고, 밖에서 할 일들은 집 안으로 끌어들이면 그렇게 될 수밖에 없다.
밖에서 많은 것을 해결하는 라이프스타일이라면 작은 집도 괜찮다. 하지만 부득이하게 비대면이 강화되고 재택근무가 활성화되면 작은 집보다는 큰 집이 더 유용할 듯하다.
코로나의 정점이 지나고 이전으로 돌아가는 지금, 다시 큰집이냐, 작은 집이냐 고민을 한다. 내 형편에 작은 집이 맞다.
작은 집 예찬
1. 경제적이다.
작은 집은 건축 비용, 유지 보수 비용, 가전제품 및 가구 구입 비용 등 총비용이 적게 들어간다.
2. 친환경적이다.
작은 집은 자원 소모가 적다. 집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에너지 소비가 줄어든다. 소형 가전제품 사용이 가능하며, 재활용 가능한 건축자재를 사용할 수 있다.
3. 관리가 쉽다.
작은 집은 관리가 쉽다. 청소, 정리, 유지 보수 등 모든 것이 작은 공간에서 이루어지므로, 시간과 노력이 덜 든다.
4. 라이프 스타일.
작은 집은 단순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다. 공간이 작아지면 불필요한 물건과 산만한 습관을 버리게 되면서 단순하고 깔끔한 삶을 살 수 있다. 작은 집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고안하는 등 삶이 창조적이다.
5. 이동성이 높다.
작은 집은 이동성이 높다. 살고 싶은 곳 어디든지 쉽게 이사할 수 있다. 한 달 살기를 비롯해서 자유로이 거주지를 옮길 수 있다.
작은 집을 권하다 / 다카무라 토모야 / 오근영 / 책읽는수요일
スモ-ルハウス, Small House / Tomoya Takamura,たかむら ともや,高村 友也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옛 물건은 감성을 품고. 한옥 담벼락에 있는 옛 물건 (0) | 2025.03.31 |
---|---|
올봄에도 어김없이 산불이. 안전안내문자. (1) | 2025.03.23 |
재미 삼아 유튜버. 하나씩 기록물을 만들어 가는 중. (0) | 2025.02.03 |
코인 세탁소의 시작과 라이프 스타일 변화 (0) | 2025.01.30 |
2025년 설 연휴 폭설. 눈 쌓이는 속도가 치우는 속도보다 빠르다. (0) | 2025.01.29 |
댓글